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ostgresql.conf 설정내용
    PostgreSQL 2010. 11. 25. 17:55

    홈페이지 : http://www.openphp.com , http://www.openpython.com

     

    안녕 하세요? 조성준 입니다.

    PostgreSQL 8.0 기존 .설정파일인 postgresql.conf의 설정 설정 입니다

    만들다 말다 하다보니 쩝., 8.0이 나오니 양만 늘었네요. 이리 올렸으면, 바뀌건만 하면 되는데
    워낙 실력이 미천하고 독학에 되도않는 영어와 사전으로 주어들은거나 본거로
    아는 범위내에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모르는것은 찾아 해메서 이해된건만 기명했으며, 틀린내용은 당연히 듬뿍 많을것입니다.
    혹여 튼린부분이 보이시면 지적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 FILE LOCATIONS -

    시스템과 직접 연관된 파일들에 대한 설정

    data_directory = 'ConfigDir'


      실제적인 PostgreSQL의 DB Data 폴더 설정입니다.
      PostgreSQL는 기본적으로 접근자 Shell의 환경변수중 PGDATA에 대해서 로딩하게 됩니다.
      이걸 설정하면 PGDATA Enviroment가 없을때 잡게 되나 계정별로 주시는것인
      다소 낳을것 같습니다.


    hba_file = 'ConfigDir/pg_hba.conf'

      PostgreSQL의 접근제어 파일인 pg_hda.conf입니다. 이부분은 다른 장에서 자세히(과연-.-;)설명드리겠습니다.


    ident_file = 'ConfigDir/pg_ident.conf'

      PostgreSQL의 Ident Authentication Maps 파일로 이역시 다른장에서.Comming Soon>.


    external_pid_file = '(none)'

      PostgreSQL의 Process ID파일위치인데 기본적으로 PGDATA 또는 data_directory 쪽에
      postmaster.pid 파일로 생성되며, Shutdown등에 이용되며,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CONNECTIONS AND AUTHENTICATION -

    접속과 인증관련

    listen_addresses = 'localhost'

      PostgreSQl의 Listen Adress설정으로 Default Localhost로 되어 있다. 이경우 PostgreSQL가 장착된
      서버 로칼만 가능하면 외부접근이 되지 않습니다.

      '*' (아스타)로 줄경우 해당 장비의 Network Interface에 설정된 정보 모두를 허용하므로, 모든접근이 가능,

      만약에 서버 네트웍카드가 듀얼이나 다중일경우 IP셋팅을 여러개 한다.
      만약에 192.168.0.10 , 192.168.0.11 , 192.168.0.12 , 192.168.0.13 번이 있다고 칠때.

      192.168.0.10 과 192.168.0.13 으로 설정된 Network 으로만 들어오게 하고 싶은때는
      listen_addresses = '192.168.0.10.192.168.0.13' 식올 ,(콤마)구분으로 가능하다.


    port = 5432

      PostgreSQL의 Service Port를 지정하는 것으로 기본 5432포트로 되어 있으나 변경도 가능하다.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경우 바꾸어주는것이 좋을듯 하다.


    max_connections = 100

      최대 동시접속자의 수를 정하는 부분인데 이는 다소 주의해야하면 Shared Memory설정에 민감하면 1명당최소 500Byte가 필요하다.
      이부분의 설정은 Performace 쪽 장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이글 올리고 언제쯤 쓸지원 ^^)


    superuser_reserved_connections = 2

      Superuser Reserved 의 영어처럼(전 영어 땝따 모름,중.고를 잠만자져,사전으로 봤음 음..)

      SuperUser의 접속을 위한 예비용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Max Connection설정이 100일떄 이를 2로하면 98명만이
      동시접근되고 2명동시접속이 가능하다. 되도록이면 설정하는것이 좋다.

      접속량 폭주시에 어떤한 상황대처때 psql -U postgres 디비 했는데 너줄 자리없어. 나가있어~라고 토설하면
      매우 당황스럽지요.



    unix_socket_directory = ''

      TCP/IP접속만이아닌 Local에서는 Unix Socket 으로 접속이 가능하며 네트웍보다는 좀 낳은 성능을 보이긴한다.
      이 설정을 해주지 않으면 /tmp에 .s.PGSQL.5432 과 .s.PGSQL.5432.lock 파일이 생성됩니다.
      5432를 보든이 해당포트로 만약에 한 서버에 PostgreSQL를 여러개 띄울때 구분을 위함이다.


    unix_socket_group = ''

      Unix Socket파일의 Onwer는 역시 PostgreSQL Master User이지만 Group을 정할수 있다.
      접근 제어를 시스템단계에서도 할수 있기 위한 배려, 미설정시 PostgreSQL Satart한 Master User의
      Owner와 Group을 따라 간다.


    unix_socket_permissions = 0777 octal

      역시 시스템 Permission차원의 접근제어를 위한 퍼미션 설정이다.따로 설정하지 않을시 srwxrwxrwx 로 설정된다.


    rendezvous_name = ''


    - Security & Authentication -

    authentication_timeout = 60

      인증 오류시의 재인증까지의 TimeOut으로 기본 60초이며 초단위 설정이 가능하면 문서를 보면 600초(600/60=10분)까지
      됩니다만. 설정을 하실시 짧게 주시되 상황에 따라 주시면 되지만 너무 길게주면 오히려 리소스만 잡아 먹습니다.


    ssl = false

      SSL 인증처리 여부체크로 이 옵션은 여기서 설명보다는 pg_hda.conf 설명떄 다시 드리겠습니다.


    password_encryption = true

      create user나 alter user로 계정 생성 변경시에 ENCRYPTED혹은UNENCRYPTED로 지정하지 않을때 자동으로
      Password Encryption할지 여부를 주는 것으로 디폴트로 두시는것이


    krb_server_keyfile = ''

      Kerberos 서버 키파일의 위치정보 설정으로 커버OS쪽 설정은 따로 자료를 구해보셔요. 제가 잘모르는 부분이라.,


    db_user_namespace = false

      User별 디비설정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Oracle의 SID와 같은 형태라고 보면 쉬울듯하다.
      기존에는 계정하나로 보통 다 접근이 되나 이경우는 계정@디비명 식으로 접근을 모두 해야 합니다.



    - RESOURCE USAGE (except WAL) -

    PostgreSQL운영 리소스 제어


    shared_buffers = 16

      공유메모리의 설정으로 max_connections수의 2배는 설정을 해주어야 하며, OS의 Shared Memory 설정까지만 설정이 가능하다.
      SHM* 커널 파라미터와 연관되어지면 Performance 설정과련 장에서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권장사항은 최소 1,000단위로 설정을 해주는것을 추천합니다. 실제로는 이정도는 너무작아 보인다.
      1 = 8Kb(8192Byte)를 먹기때문에 잘계산해야 하는데 공유메모리 설정과 셋팅관련은 따로 장으로 알려드려야 할부분으로
      다소 고민을 해야한다.



    work_mem = 1024

      말그대로 작업용 메모리 상한선을 지정하는 것으로 Sorting(Order by),Distinct시나 , In,merge join등 결과를 만들어내기위해
      쿼리에 해당되는 정렬이나 임시 저장을 위한 공간 확보의 상한선을 주는것으로,
      이는 모든 합계를 정하는게 아니라 각 쿼리당으로 설정값이 반영되므로 무턱대로 많이 주면 시스템 메모리가
      커질것입니다. 작업상에 어느정도를 잡아야 하나 실제 쿼리 수행후 나오는 데이타들의 크기를 대략보고 정하면됩니다.
      KiloByte당위 설정으로 기본값은 1024kb나 최소 64까지가능하나 디폴트나 조금더 주면 충분하나
      업무량에 따라 늘력주시되 주의할것은 총합이 아닌 각각의 쿼리질의당이므로 주의요망!! (메모리가 무리 넉넉하시면 많이 주면 성능의 향상
      이 있습당)


    maintenance_work_mem = 16384 min 1024, size in KB

      DML즉 Create , Alter등 실제적인 관리 목적의 작업이나 vauum시의 작용 메모리 사용 제한선으로 work_mem 설정보다는 쬐금더
      현재 기본값은 약 16M정도로 많이 사용하는 부분은 아니지만. 복구작업이나 DML쿼리 전송이 많을때 많이 주면 빠른 처리가 된다.
      그리크게 설정할필요까지는 없으니 디비 엎고 다시 넣거나하실때에는 높여 주시면 성능 향상이 됩니다.


    max_stack_depth = 2048 min 100, size in KB

      최대 Stack 수로 아무리 많이 준다해도 Kernel설정을 최대치로 놓으니 ulimit 로 설정시에는 많이 줄수 있으나
      이는 너무많이주면 Crash가 일어날수 있습니다. 재귀호출함수나 복잡한 함수처리에는 조금더 설정해주면 좋으나
      부턱대로 늘리는건 비추천입니다. 역시 KiloByte단위이면 기본이나 기본보다 조금더 주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Free Space Map -

      max_fsm_pages = 20000 min max_fsm_relations*16, 6 bytes each
      max_fsm_relations = 1000 min 100, ~50 bytes each

      정확한 용도를 모르겠음 T.T누가 알려주세요.!


    - Kernel Resource Usage -

    PostgreSQL이 Kernel 리소스 이용에 대한 제어

    max_files_per_process = 1000 min 25

      각 PostgreSQL Process(Child Process)가 Open할수 있는 최대 파일수 입니다. 이는 Kernel설정값 file-max와 연관된것으로,
      Kernel에서 제한을 했다면 설정을 않해도 되지만 Unlimit로 되어 있거나 file-max로 이미 잡아 놓은 상태에서
      그 범위내에서 처리할떄 조정하는것으로 너무 많이 설정하면 , 커널에서 너 너무열었어. 닫어~ 쨔샤 라고 에러가 나니
      너무 높게는 잡지 마시구요, 요즘은 Ulimit로 설정이 많으니 높게 주셔도 큰무리는 없을듯.


    preload_libraries = ''

      PreLoad 서버 Start시에 함께 메모리에 적재할 Library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PL(Procedure Language) Library에 대해 미리 설정하면 PL 로 작성된 함수들의 처리에 빠른 속도를 낼수있습니다.

      문법은 '$libdir/plXXX:plXXX_init' 식으로 python 라이브러리를 Start시점에서 적재하고 싶으면
      '$libdir/plpythoni:plpythonu_init' 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libdir은 PostgreSQL설치위치에서 자동으로 찾아오나

      해당 라이브러리가 다른곳에 있으면, 위치를 절대 경로 (/usr/local/lib)로 주시면 되면 여러개를 하실때는
      ,(콤마)구분으로 하시면 됩니다.



    - Cost-Based Vacuum Delay -

    Vauum에 대한

    vacuum_cost_delay = 0 0-1000 milliseconds
    vacuum_cost_page_hit = 1 0-10000 credits
    vacuum_cost_page_miss = 10 0-10000 credits
    vacuum_cost_page_dirty = 20 0-10000 credits
    vacuum_cost_limit = 200 0-10000 credits


      PostgreSQL의 단편작업과 오류수정과 최적화를 위해 vacuum을 실행하는데
      이 실행시 잠시 데이타에 Lock이 되거나 Delay가 생겨 본 작업수행에 다소
      지장을 주는데 위 설정으로 Delay를 주어 다른 쿼리가 이미 수행중이거나
      Transaction처리중에 Delay를 주거나 허용된 범위 이상으로 리소스를 찾지 않게 하는것입니다.
      실제적인 update,delete..등이 자주일어나거나하면 당연히 vauum해주어야만 한다.
      이때 select 쿼리가 상당량을 차리할때 vauum을 해주면 딜레이가 생기니

      적당성으로 실시간이나 한가한시간대가 아닌 시간단위등으로 할경우는 이옵션으로
      본래의 Transaction에 최대한 지장을 주지 않도록 셋팅하면 좋습니다.


    - Background writer -

    BW에 대한 제러

    bgwriter_delay = 200 10-10000 milliseconds between rounds
    bgwriter_percent = 1 0-100% of dirty buffers in each round
    bgwriter_maxpages = 100 0-1000 buffers max per round


      역시 성능향상을 위한것으로 write Process의 Delay타임과 전체 리소스 퍼센트와
      일정량까지 BackGrount Write가 시행됭 Buffer량을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이것역시 시스템 사용량과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되나 주석처리된 상태로 써도
      문제될것은 없습니다.


    - WRITE AHEAD LOG -

    WAL에 대한 제어

    fsync = off

      상당히 처음 Config파일을 보고 당황한것은 기본설정에 true이고 옆에 코멘트는 on,off란다.
      얼마가 고민했던지 하지만 ini Config Style이며, 어차피 Config Parser에서 처리하므로
      on,off든 true,false든 결과는 값습니다.

      fsync를 on(true)일 경우 Disk Write가 빈번히 일어나고 바로바로 Sync되므로,
      성능(빠른 응답)을 원할때는 off(false)가 좋으나 안정성만을 위한다면 on(true)가 안정하다.

      시스템 Crash로 인한 복구에 롤백시점이 생기지 않기를 원한다면 on(true).얻는게 있으면 잃는게(속도~) 있습니다.


    wal_sync_method = fsync

      WAL의 File Sync 시의 방법에 관한것으로 디폴트 fsync입니다.
      fsync이외에 fdatasync , open_sync or open_datasync가 있습니다

      OS자체의 파일 함수를 쓰는데 open_sync는 O_SYNC로 WAL Log파일을 오픈하고
      open_datasync는 O_DSYNC로 WAL Log를 오픈한다.

      자세한건 따로 설명드리겠습니다. C나 python으로 OS차원의 File Control해보신분은 의미를 아실듯.




    wal_buffers = 8

      WAL의 버퍼 설정으로 최소는4로 실제 쓰는 메모리의 량은 4*BKbyte이다.
      디폴트로 두어도 상관없으니 쿼리속도만을 생각한다면 버퍼를 늘리면 좋겠지만.
      버퍼에 너무많이 가지고 있닫 Power Down이 올경우 그마만큼 복구시점의 손해가 오니
      기본값이 일반적으로는 좋을것 같다.


    commit_delay = 0

      WAL의 Commit(Disk Write) Delay설정으로 마이크로 세컨드설정으로 최대 10,0000 까지된다.,

      WAL Buffer 설정 크기만큼 WAL Log를 담고있다 넘칠때 실제 물리적 Disk에 Write할깨의 Delay시간입니다.
      MicroSecound는 백만 분의 1초단위이다. 음. 초이하로 내려가면 난감함. 0.1단위까지는 감이오지만 ^^



    commit_siblings = 5

      ?? 아직도 이해못하고 있음 ^^


    - Checkpoints -

    체크 포인트에 대한 제어

    checkpoint_segments = 1

      WAL의 체크포인트를 찍는 최대 거리를 정하는 것으로 , 1 세그먼크당 약 16MB(16*1024의 텀이 생깁니다.
      즉 이 값을 많이 주면 복구시점의 PITR이 너무 많은 컴을 가지게 됩니다.
      기본 3이지만 1을 추천해 드립니다. 또한 Check Point Segments를 너무 많이 주면
      그 용량이 찰때까지의 성능 향상은 있으며, 뭐 몰아서 벼락치기라고 하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짧게 주시길 권장.!


    checkpoint_timeout = 300

      WAL Auto Check Point 간격의 시간을 정하는 것으로 , 초단위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디폴트는 300초입니다. 너무 자주 찍어도 그렇고 너무 넓게 찍어도 그렇지만 시스템의 Transaction량이
      분단위 처리량이 만은지 시간당 처리가 많은지와 최악의 상황의 복구시점들을 생각해서 적어 주시데
      역시 너무 짧아도 좋지 않고 너무 넓어도 나머지공부와 벼락치기를 하게 된다.


    checkpoint_warning = 30

      경고 메세지로 checkpoint_segments에 설정된 크기에 넘칠때 해당 시간내에서
      Write후 Flush즉 비워지지 않고 계속 흘러 넘칠때 경고메세지를 에러 로그에 남기에 하는 옵션입니다.
      0은 off이며 초단위 설정이며, 처음 WAL과 PITR의 주기와 셋팅을 체크하실때 켜두시면 어느정도 튜닝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 Archiving -

    WAL에 대한 Archive 제어

    archive_command = ''

      WAL Log파일등의 백업처리등에 쓰는것으로 DAT나 기타 백업 미디어나 백업 Disk쪽으로 백업하는 일련의 시스템 Command입니다.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rchive_command = '/bin/cp -i %p /mnt/tape/%f > /var/log/wal-log-archiving.log'

      식으로 사용하는데 문자열 포맷팅에는 2가지가 있는데
      %p 는 WAL Log Archive 절대경로+파일명이며, %f는 WAL Log
      Archive File명입니다.
      Command Line작성히 Systeam 명령을 내리는것으로 모두다 절대경로로 사용하십시요.!!! <-- 겁나게 주의요망



    - QUERY TUNING -

    쿼리튜닝 실행관련 제어

    - Planner Method Configuration -

    이옵션은 자주 analyse나 vacuum등으로 각종 쿼리에 대한 탐색 최적화 plan을 해주는 기능으로 무조건 True로 두는게
    좋다고 권장해드립니다. 만약에 쿼리가 100,000만 쿼리르 뒤지는데 첫 실행후 2번째는 최적의 결로를 찾아 1,000레코드만 뒤지는등
    성능 향상을 보여줍니다.

    enable_hashagg = true : 일반적인 쿼리 Auto Plan
    enable_hashjoin = true : Joint쿼리 Auto Plan
    enable_indexscan = true : Index Scan Auto Plan
    enable_mergejoin = true : Merge Join Auto Plan
    enable_nestloop = true : Nest Loop Auto Plan
    enable_seqscan = true : Sequence Scan Auto Plan
    enable_sort = true : Sort Auto Plan
    enable_tidscan = true : TID Scan Auto Plan

    위 옵션은 seqscan과 nestloop의 경우 index scan보다 오히러 느려지는 경우가 있어 false로 두어야 할떄가 있습니다.
    explain analyse 쿼리; 를 통해 어떤 쪽이 탐색에 더 유리하신지에 따라 Default값을 변경해주싶시요.



    - Planner Cost Constants -

      이부분은 아직 안정화된 부분이 아니라는 군요. 조금 두고보고 설명드리겠습니다.

      effective_cache_size = 1000 typically 8KB each
      random_page_cost = 4 units are one sequential page fetch cost
      cpu_tuple_cost = 0.01 (same)
      cpu_index_tuple_cost = 0.001 (same)
      cpu_operator_cost = 0.0025 (same)


    - Genetic Query Optimizer -

    GEQO 쿼리튜닝 실행관련 제어

    geqo = true

      Genetic Query Optimizer의 가동여부 결정. 위의 결과적 튜닝이 아닌 유연한 쿼리 튜닝이라고 합니다.
      정확히 어떻게 처리된는지는 좀더 조사중입니다.^^~


    geqo_threshold = 12

      Query문에서 From 절의 갯수제한으로 12개 이상의 From이 들어간 쿼리에 대해 Genetic Query Optimizing을 합니다.


    geqo_effort = 5

      GEQO의 쿼리 최적화 Plan시의 여러가지를 해보는 그범위를 설정하는것입니다. 많이주면 그마만큼 최적화는 되겠지만.
      괜한 시간 소비가 일어 납니다. 최대 10, 기본값(5) 정보다 적당할듯 싶네요.
      아래 옵션들이 0을 설정시 최대값 근거치정도로도 사용됩니다.


    geqo_pool_size =

      GEQO가 사용할 Pool Size로 보통들 100~1,000정도 쓴다고 문서에 되어 있네요. 쩝.!
      0으로 두면 geqi_effort의 값과 쿼리에서 호출하는 Table의 수를 감안해서 자동 계산하니 귀찮으신분은 0 추천 ^^


    geqo_generations = 0

      GEQO 최적화 알고리즘의 최대 루프수입니다. 0 설정시 geqo_effort 를 참조하게 됩니다.


    geqo_selection_bias = 2.0

      1.5에서 2.0까지 설정되면 Selection Bias.. 음 잘 모르겠음. 편향값 제어음..^^ 영어 공부합시다.


    - Other Planner Options -

    default_statistics_target = 10

      위 Query Optimize Planner(,ALTER TABLE SET STATISTICS) 에서 처리되지 않는 쿼리에 대한 쿼리최적화로
      값증가는 역시나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만 최적화 될가능성도 있기는하니 적절히 상황에 맞게 사용하길 바랍니다.


    from_collapse_limit = 8

      이 옵션은 geqo_threshold 보다 적은 수를 주러 geqo_threshold 보다 적은 from 절을 가진 쿼리에 대한 최적화를 단행 합니다.


    join_collapse_limit = 8

      위와 같은것으로 쿼리의 Join절대 대한 최적화를 단행한다고 생각 하시는게 쉬우실듯.



    ERROR REPORTING AND LOGGING

    에러 리포팅과 로깅관련 제어


    - Where to Log -

    log_destination = 'stderr'

      서버 로그에 대해 어디로 출력할것인데 기본이 Standard Error로 출력된다.
      화면에 출력됩니다. 하지만 syslog시에는 아래 syslog_**옵션의 영향을 줍니다.

      따로 로그 서버를 두시는 분들은 syslog로 놓고 syslog_** 옵션을 통해 외부서버로 전송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redirect_stderr = true

      이 옵션은 아래와 직관적인 영향으로 로그에 대해 stderr에 대해 아래 설정된 로그파일처리시에
      Standard Error로 출력된것으로 모두다 로그파일화 하느냐의 옵션으로 서버가 눈앞에 있지 않는이상
      로그로 Redirect하는게 나중에 Manternence에 매우 유익함다.


    log_directory = 'pg_log'

      Log 파일을 저장할 디렉토리지정으로 당연히 PostgreSQL 의 Owner와 Group그리고 Permission이 설정된
      디렉토리여야만 합니다. 기본적으로 상대결로를 주시면 PostgreSQL의 Data Folder에 pg_log식의 폴더가 생기면
      따로 저장을 워하시면 절대 경로 /dep/log/pgsql 식으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log_filename = 'postgresql-%Y-%m-%d_%H%M%S.log'

      에러 로그파일에 대한 Log Rotate File구성으로 위와 같이 설정하면

      postgresql-년(4자리)-월-일_시분초.log 로 생성된다. 만약에 분단위나 일단위로 하고 싶으시면
      log_filename = 'postgresql-%Y-%m-%d-%H.log' 식입니다.


    log_truncate_on_rotation = false

      이 옵션을 아래 두개의 옵션을 통해 로그파일을 나누는 옵션으로 log_filename 에 지정한 형식이 아닌
      파일 생성시간 부터의 시간이나 FIle Size를 통해 로그를 나눌때 씁니다.
      저는 별로 추천하지는 않는 옵션으로 보통 log_filename으로 일단위나 시간단위로 남기는 편입니다.


    log_rotation_age = 1440

      로그파일이 최초 생성시점부터 1440초 이상지나면 다른파일이 생성되게 한다.
      0은 Disable입니다.


    log_rotation_size = 10240

      로그파일의 크기로 제안하는 것으로 10240byte명 1Mb단위로 파일을 나누어 저장하는것입니다.



    syslog_facility = 'LOCAL0'

      에러 로그를 syslog로 설정시 syslog daemon의 facility를 주어주는 것으로 LOCA0~7까지 있다 기본적으로 시스템에서 LOCAL7에 대해서

      부팅로그를 남기니 겹치지 않게 셋팅하시고 쓰시는 syslog daemon문서를 보심이 좋다고 하네요.


    syslog_ident = 'postgres'

      Syslog 저장시 구분용 단어로 PostgreSQL DB 뭐 이런식으로 두실수도 있습니다. 식별용 키워드이니 적당한걸로 셋팅



    - When to Log -

    로그 생성에 대한 제어

    * 에러 로그 레벨 설명 *

    인용 또는 결과 :

    DEBUG[1-5] : 실제적으로는 필요없으나 PostgreSQL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라고 보면 됩니다.

    INFO : 유저레벨로 단순히 유저쪽에 알리는정보

    NOTICE : 유저에게 유용하게 알수 있거나 단순히 이렇게 하는게 좋겠어? 이건 주위해라는 정보

    WARNING : 유저 경고정도, 이건 어떻게든 처리해라던지 Transaction Start가 않되었는데 Commit을 한다던지하는 경고성

    ERROR : 현재의 업무수행을 중단할정도의 에러

    LOG : 관리자에게 필요한 정보류, 체크리스트 활동정보라던지 실질적인 DBA용 메세지

    FATAL : 현재의 쿼리 세션을 중단하게 하는 에러

    PANIC : 모든 세션에 대한 중단이 초래되는 원인에 대한 에러

    [root@good /root]$
    _


    client_min_messages = notice

      debug5, debug4, debug3, debug2, debug1,
      log, notice, warning, error

      로그 기록상의 로그 Level의 설정하는 것으로 디폴트인 Notice를 두면

      Notice,Warning,error 로그에 대해서 Client에서 전송합니다. 너무 높게 설정하면,
      그 엄청난? 에러는 다박고 우엑하기 때문에 디폴트가 적당선인것 같습니다.


    log_min_messages = notice

      debug5, debug4, debug3, debug2, debug1,
      info, notice, warning, error, log, fatal,
      panic

      위와 같으면 이는 서버에 로그 기록 레벨을 정하는 것입니다.


    log_error_verbosity = default

      terse, default, or verbose messages

      이것은 로그 기록시의 해당 오류에 대한 정보에 대한것으로 terse로 설정하면 최대한 많은 에러로그에 대한
      정보는 받을수 있으면 default와 verbose는 같은 옵션입니다.

      서버 Transaction이 말고 terse 레벨로 로그를 남겨 상세히보고 싶으시면 Log Directory를 다른 하드디스크로
      두시는 편이 좋습니다.


    log_min_error_statement = panic

      debug5, debug4, debug3, debug2, debug1,
      info, notice, warning, error, panic(off)

      사용자의 쿼리에 대한 에러로그로 레벨로 설정값 아래 수위일때 저장됩니다.
      만약에 DB Application에서 쿼리 Fail에 대한 정보를 따로 수집않하시면
      레벨을 올려 서버에 남겨서 하셔도 됩니다.


    log_min_duration_statement = -1

      이 옵션을 지정된 시간이상 Client의 질의 쿼리에 대해 작업할때 로그를 남깁니다.
      이건 초기 개발이란 런칭한지 얼마 않되거나 Tunning시점에서 품질 기준시간을 설정해
      너무 지체되는 쿼리에 대해 Tunning할때 필요합니다 -1은 Disable이면
      밀리세컨드로 지정할수 있습니다.


    silent_mode = false

      slient 즉 조용하게 에러는 redirect로 Log Write하지 않을경우 주위 즉 기본옵션으로는 화면에 에러 출력을 하는데
      이걸 그냥 true하면 에러나도 아무런 메세지를 볼수 없다. 주위를 좀 요합니다.(제가 그런적있거든요 쩝)



    - What to Log -

    로그 데이타 생성의 부분 제어

    debug_print_parse = false
    debug_print_rewritten = false
    debug_print_plan = false



      Debug 레벨 설정시에 문법Parsing, ReWrite,Plan에 대한 디버깅정보 출력 여부설정으로 레벨을 Debug[1-5]가 아니면
      별 의미가 없습니다.


    debug_pretty_print = false

      Debug Level에서의 에러 로그시에 좀더 자세히 보기 쉽게 할때,즉 풀어서 보여준다는 걸로 이해하셔용


    log_connections = false

      접속 로그


    log_disconnections = false

      접속해제 로그


    log_duration = false

      ???


    log_line_prefix = ''

      로그 기록시 여러분이 원하는 패턴을 정하면 로그의 각줄에 정한 패턴의 형식의 데이타가 앞에 붙어
      좀더 라인단위 로그분석에 용의 합니다.
      인용 또는 결과 :

      %u : 접속유저명
      %d : 디비명
      %r : 리모트접속자의 HostName (Resolve)또는 IP와 Port
      %p : 프로세스 ID
      %t : Unix TimeStamp (일반적으로 사람이 보기 쉬운(흔한) 형태의 시간
      %i : command tag
      %c : session id
      %l : session line number
      %s : session start timestamp
      %x : transaction id
      %q : stop here in non-session processes
      %% : '%' <- 문자열 포맷팅 구분자로 %를 쓰니 쓰고 앂으시면 %%로 쓰셔야 만 합니다.

      [root@good /root]$
      _



    log_statement = 'none'

      SQL쿼리 로그시에 원하는 부분만 남기고 싶을때 none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mod(DML)(insert,update,delete,trunscate,copy from,prepare,explain등) , ddl (create,aler,drop),all은 ALL ^^


    log_hostname = false

      로그에서는 기본적으로 접속자IP를 기록하나 이걸 true화 하면 resolve또는 hostserver search(/etc/nsswaitch 설정기준으로)를 해서 해

      IP에 대한 Host명을 찾는데 저로써는 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만약에 배포용 Visual Application에서 Danymic DNS 처엄 IP는 다르지만 Host명을 가지고 있는 경우 남기고 싶으시면 모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로그 하나 남길때마다 조회를 해야 하니 음... T.~; DNS Cache Server나 빵빵 하시면 해보심도. 암튼 비추



    - RUNTIME STATISTICS -

    실행시 통계정보 제어

    - Statistics Monitoring -

    log_parser_stats = false
    log_planner_stats = false
    log_executor_stats = false
    log_statement_stats = false


      위 옵션은 각각의 상황에 따라 로그를 남기느냐 입니다.


    - Query/Index Statistics Collector -

    stats_start_collector = true

      통계정보 수집용 Process를 기동시킬건지에 대한 옵션


    stats_command_string = false

      각 접속된 세션의 Command String즉 쿼리문에 대한 통계정보 수집여부로 , 메인 관리자나 로그수집 유저가 아닌이상
      다른이가 볼수없어 보안상 위험은 없다고 합니다.
      시스템 카타로그인 pg_stat_activity 를 통해 감시감독이 가능 합니다.


    stats_block_level = false

      디비 활동에 대한 Block Level의 통계정보수집여부로 시스템 카라로그 테이블 pg_stat와pg_statio를 통해 감시가능


    stats_row_level = false

      위와 동일하면 row Level에 대해서


    stats_reset_on_server_start = true

      지금까지 설정한 정보를 서버 리스타트시 사제 할것인지 여부를 지정하는것



    - CLIENT CONNECTION DEFAULTS -

    유저 접속과 관련된 기본 설정

    - Statement Behavior -

    search_path = '$user,public'

      ???


    default_tablespace = ''

      사용자의 TableSpace 디폴트로 설정이 가능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pg_global즉 시스템의 PGDATA 폴더로 TableSpace로 사용하나
      이를 따로 바꿀수도 있습니다.
      즉 시스템과 직결과것은 PGDATA 환경변수나 맨위 data_directory로 잡고 , 유저들의 사용 Table Space는 create tablespace등으로
      따로 잡지 않고 Config 파일 단위에서 처리 할수도 있습니다.


    check_function_bodies = true

      create function 내부 문법에 대한 오류체크선택,기본적으로는 true를 해야만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쌩뚱맞은에러에 대처하죵.~네~



    default_transaction_isolation = 'read committed'

      Transaction 처리 Mode에 대한것으로 트랜잭선 모드에 다른 접근자의 접근시의 허용여부로
      옵션은 read uncommitted,read committed,repeatable read or serializable 을 지원합니다.

      각가 레벨은 http://www.postgresql.org/docs/8.0/interactive/transaction-iso.html 을 참조 하십시요.


    default_transaction_read_only = false

      디폴트로 Transaction 수행중일때 해당 Table에 대한 Read Only설정 여부입니다.
      set transaction 으로 각업무별로 주는것이 효율적인듯.


    statement_timeout = 0

      지정된 시간이상의 쿼리에 대해서는 모두 중단 시켜 버립니다. 0은 Disable이고 셋팅은 milliseconds로 하시면 됩니다.


    - Locale and Formatting -

    지역화와 각종 포캣팅관련 제어

    datestyle = 'iso, mdy'

      날짜 포맷에 대해 입력이나 출력시의 포맷에 대한 기본설정입니다.
      다음은 지원되는 포맷들의 출력 예입니다.

      ISO(ISO 8601) : 1997-12-17 07:37:16-08
      SQL : 12/17/1997 07:37:16. 00 PST
      POSTGRES : Wed Dec 17 07:37:16 1997 PST
      German : 17.12. 1997 07:37:16. 00 PST
      .
      .

      뒤의 mdy는 기본 출력 양식으로 Month Day Year로 월일년 출력순으로 변경은 가능 합니다.



    timezone = unknown

      시스템의 TimeZone기준으로 unknown으로 하면 System의 설정된 Time Zone기준입니다.


    australian_timezones = false

      australian TimeZone이 좀 일반적인 TimeZone과는 좀 달라 배려용 옵션인데 잘모르겠네용 -.-;
      날 오스트레일리아로 보내준다면야~ ^^


    extra_float_digits = 0

      부동소숫점의 소숫점아래의 길이를 제한하는것으로 -15로 하면 0.000000000000000 까지 가능하다.
      0으로 부터 Data Type에 맞추어 지므로 특별히 제한을 주고 싶으실때 정하시면 됩니다.



    client_encoding = sql_ascii

      Client Encoding Set을 정하는 것으로 기본 SQL Acscii입니다.
      따로 shift-jis등 DB Encoding내의 Converting가능한 Encoding으로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이는 디폴트이므로 기본으로 두고 DB Application단에서 PSQL API의 client_encoding으로 변환해 받는것이
      좋습니다.


    lc_messages = 'ko_KR.eucKR'

    댓글

Designed by Tistory.